안녕하세요!엄지입니다
오늘은 대기오염물질의 측정과 기상현상에대해 요점정리해볼게요!
대기오염물질의 분석방법
1.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: 기체시료나 기화한 액체나 고체시료를 운반가스(carrier gas)에의하여 분리하는 방법
2. 원자흡광광도법 : 시료를 적당한 방법으로 해리시켜 중성원자로 증기화하여 생긴 기저상태(Ground State or Nomal State)의 원자가 이 원자 증기층을 투과하는 특유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
3. 자외선,가시건분광분석법(흡광광도법) : 시료물질이나 시료물질의 용액 또는 여기에 적당한 시약을 넣어 발색시킨 용 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중의 목적성분을 정량하는 방법, 정량하는 방법 으로 파장 200mm~1200mm에서의 액체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대기나 굴뚝배출가스중의 오염물질 분석으로 광원으로 나오는 빛을 단색화장치 (monochrometer)또는 필터 (filter)에 의하여 정량하는 방법.
기상현상
1.대기의 구성: 질소(N2)> 산소(O2) > 아르곤(Ar) > 이산화탄소(CO2) > 네온(Ne) > 헬륨(He)
2. 성분함량 : 용적비 N2 :O2 = 0.79 : 0.21
중량비 N2 :O2 = 0.77 : 0.23
3.대기권의 분류
(1) 대류권 :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기온 감소.
지표면에서 약 11km까기의 대기를 말함.
공기의 수직이동에 의한 대류현상이 일어남.
눈이나 비가 내리는 등의 기상현상이 일어남.
대류권에서는 고도 1km 상승에 따라 약 9.8℃낮아진다.
대류권의 높이는 계절이나 위도에 따라 다르며 극지방에서 낮고 적도지방에서 높다.
대기오염 문제가 발생함.
(2) 성층권 : 오존층이 존재
지상20~30km사이에 오존층이 존재.
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올라감.
지면으로부터 약 11~50km까지의 권역.
자외선 흡수, 오존농도의 고도분포는 성층권에서 10ppm정도 나타냄.
(3) 중간권 : 지상으로부터 50~80km 사이의 층
지구대기층 중 가장 기온이 낮다.
유성이 관측된다.
(4) 열권 : 지상 80km이상에 위치
오로라가 발견된다
4. 대기의 안정도 : 복사역전이 형성될 경우 대기오염물질의 수직이동, 확산이 어렵게 되어 대기오염물질이 축적된다.
5.바람 : 기압경도력, 전향력,마찰력에 의해 바람이 생성
6. 대기안정도와 연기모양
- 부채형: 매우 안정적인 복사역전 상태, 주로 아침과 새벽에 발생
- 환상형: 대기가 불안정상태 일때 발생, 난류로 인해 오염물질을 확산시킴, 바람이 약한날, 주로 낮에 발생
- 훈증형: 지표의 오염도가 높음, 대기의 상태가 하층부는 불안정, 상층부는 안정할때 볼수 있음, 하늘이 맑고 바람이 약한날의 아침에 볼 수 있다.
- 지붕형: 대기의 상태가 하층부는 안정, 상층부는 불안정할때 볼수 있음
- 원추형: 가우시안분포를 나타냄, 대기상태가 중립조건일떄 발생, 지표면 가까이에는 오염의 영향이 거의 없다.
여기까지 요점정리 끝!! 감사합니다~

'30대 직딩녀의 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경기능사 원서접수기간! (5) | 2021.12.31 |
---|---|
30대 직딩녀! 환경기능사에 도전하다2 (0) | 2021.11.23 |
30대 직딩녀! 환경기능사에 도전하다! (0) | 2021.11.19 |